[논단] 공짜뉴스의 후유증
상태바
[논단] 공짜뉴스의 후유증
  • 장호순 교수
  • 승인 2015.12.04 11: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 : 장호순 순천향대학교 교수

'공짜면 양잿물도 마신다'는 속담이 있다. 그만큼 사람들은 공짜를 좋아한다. 많은 사람들이 공짜로 즐기는 상품 중 하나가 뉴스이다. 뉴스는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뉴스를 이용하는 독자들은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다.
독자들이 이용하는 공짜뉴스의 비용은 광고주가 지불한다. 언론의 흥망성쇠를 광고주가 결정하는 세상이 되었다. 언론사들은 광고주의 직간접 압력이나 영향력으로부터 더욱 구속당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독자들의 신뢰는 더욱 낮아지고, 그래서 언론은 더욱 광고주에 의존해야 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한 사례가 <한겨레>의 국정교과서 게재를 둘러싼 논란이다. <한겨레>는 지난 10월 19일자 1면 하단에 "올바른 역사관 확립을 위한 교과서를 만들겠습니다"라는 문구의 정부광고를 게재했다. 언론분야 전문신문인 <미디어오늘>의 보도에 따르면, 전국지와 경제지 등 총 22개 신문이 동일한 국정교과서 홍보 광고를 게재했다. 각 언론사 당 약 2000만~3000만원의 광고비가 집행되었고, 총 5억원의 정부 예산이 사용되었다.
<한겨레>는 국정교과서 홍보광고는 기사와 광고는 별개의 것이라는 원칙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진보성향을 가진 독자와 네티즌들의 공분을 샀다.
사실 <한겨레>가 국정교과서 광고를 게재하면 닥치게 될 여론반발을 예상하지 못했을 리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고를 게재한 것은 그만큼 <한겨레>의 경영이 어렵다는 징표이다. <한겨레>는 창간주주 2만 7000명의 성금을 기반으로 출발했고 그러한 기대에 부응하며 한국의 대표적 진보적 신문이고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신문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이대로 가다간 머지않아 문을 닫아야할 처지에 놓여있다.
공짜뉴스 시대에 진보언론이 살아남기는 매우 어렵다. 광고수익을 올리기 위해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공짜뉴스를 제공하는 언론은 결코 진보적일 수 없기 때문이다. 진보언론을 이용하는 지식인과 정치인들은 많지만, 진보언론의 비용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은 많지 않다. 현재 진보진영이 지리멸멸한 이유가 진보언론의 부실과 부재 탓이라는 점을 인지하고 대안을 제시하려는 사람들도 드물다.
<한겨레>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국정교과서 홍보 광고를 게재할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공짜 좋아하는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디지털 시대의 후유증인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순창 농부]순창군창업유통연구회 변수기 회장, 임하수 총무
  • 최순삼 순창여중 교장 정년퇴임
  • 선거구 획정안 확정 남원·순창·임실·장수
  • 순창시니어클럽 이호 관장 “노인 일자리 발굴 적극 노력”
  • 군 전체 초·중·고 학생 2000명대 무너졌다
  • “조합장 해임 징계 의결” 촉구, 순정축협 대의원 성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