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그리고 10년 후
상태바
5년 그리고 10년 후
  • 조재웅 기자
  • 승인 2017.02.08 16: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월 13일은 기자라는 명함을 가진지 정확히 5년이 되는 날이다.
5년 동안 기자로서 무엇을 했는지 돌아보니 특별한 흔적이 없어 보인다. 뭔가 특별한 것을 남기려는 생각은 해보지 않았지만 기자라는 명함만 있었을 뿐 기자로서의 역할에는 충실하지 못했던 것은 아닌지 고민에 빠지게 된다.
개인적인 욕심을 채워본 일은 없지만 그렇다고 기자로서 할 일을 다 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사회의 어두운 면을 드러내야 하고, 드러난 어두운 면을 밝게 만들어야 한다는 의무감은 있지만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씁쓸하다.
때로는 게을러서, 때로는 귀찮아서 어두운 면을 보고도 못 본 체 한 적은 없는지, 현실과 타협하면 안 된다고 머릿속으로 되뇌면서 현실이라는 핑계로 의무를 져버리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게 된다.
박근혜와 최순실 그리고 그 부역자들은 그 지위를 이용해 온갖 이권에 개입하고, 혈세로 주머니를 채우며 군림하듯 권력을 과시했다. 이들의 사상 초유의 국정농단을 밝혀내고 국민의 눈을 뜨게 만든 것은 결국 갈기갈기 조각난 문서 조각을 일일이 손으로 맞춰 그 내용을 파헤친 한 언론과 소속기자들의 ‘대단하다’는 말로는 한참 부족한 노력과 열정, 끈기. 무엇보다 기자로서의 사명감이 아닐까 생각한다.
최근 부고 게시판을 작성하며 한 장례식장의 부고 내용 가운데 낯익은 이름이 하나 눈에 띠었다. 풍산 한사마을의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집에서 생활하시는 어르신의 성함이었다. 혼자 그 위태로운 집에서 생활하면서 제도의 허점 때문에 제대로 지원조차 받지 못하고 생활하시던 어르신이었다.
그 어르신의 이야기를 처음 보도한 것은 2012년 11월이었다. 처음 취재 당시에도 어르신의 연세가 워낙 많았기에 직감적으로 그 어르신일 것 같다고 느꼈다. 며칠 뒤 어르신에게 관심을 갖고 지켜봐주던 군 공무원에게 어르신이 돌아가셨다는 전화를 받았다.
안타까움이 밀려왔다. 처음 보도 이후 어르신은 돌아가시는 그날까지 그 위태로운 집에서 어렵게 생활하셨을 것이다. 기사가 나가고 어르신의 사정이 알려지며 여러 단체에서 도움의 손길은 있었지만 근본적인 해결은 되지 않았다.
조금 더 관심을 갖고 더 취재를 했더라면 조금은 나은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지 않았을까. 왜 끝까지 관심을 갖지 않았을까. 마음 한편으로 기사를 한 번 냈으니 그 후는 군에서 알아서 할 일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았을까. 기자로서 사명감이 많이 부족하지는 않았는가. 여러 생각이 교차한다.
결국 5년의 기자생활을 돌아본 후 남은 것은 후회와 ‘기레기’라는 호칭만은 아닐까. 하지만 그럼에도 일단 앞으로 5년 더 기자로서의 길을 걸으려 한다. 5년 뒤, 기자로서의 10년을 뒤돌아 봤을 때 ‘기레기’라는 호칭에서 벗어나고, 한사마을 어르신 같은 상황을 다시 만들지 않기 위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금과초등학교 100주년 기념식 4월 21일 개최
  • [순창 농부]농사짓고 요리하는 이경아 농부
  • 우영자-피터 오-풍산초 학생들 이색 미술 수업
  • “이러다 실내수영장 예약 운영 될라”
  • [열린순창 보도 후]'6시 내고향', '아침마당' 출연
  • 재경순창군향우회 총무단 정기총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