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어우리말(38)/ ‘학부형’은 남녀 차별적 표현, ‘학부모’로 써야
상태바
아어우리말(38)/ ‘학부형’은 남녀 차별적 표현, ‘학부모’로 써야
  • 이혜선 편집위원
  • 승인 2017.05.18 15: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 다르고 ‘어’ 다른 우리말

“예년 같으면 카네이션과 선물상자를 들고 교실마다 교사와 학생들이 떠들썩한 이벤트를 벌였겠지만, 이날 학생들은 사생대회장에서 깨알 같은 글씨로 선생님에게 감사의 손편지를 쓰는 것으로 대신했다. 숭례중 등 다수의 인근 학교 학생들도 이날 올림픽공원에 대거 몰렸다. 학생이나 학부형이 교사들에게 주는 선물이 사실상 전면 금지된 상황에서 등교 대신 스승과 제자가 만날 수 있는 대안을 택한 것이다.”
“학교 정문에 오늘 ‘학부형 방문 금지’라는 문구가 걸린다고 한다. 학생들이 스승의 날에 종이로 만든 카네이션을 주어도 안 된다고 한다. 어떤 학교는 차라리 스승의 날에 휴교를 한다고도 한다.”
“옛날 스승의 날에 한 학부형이 유정란이라며 달걀 두 알을 까만 비닐에 넣어주신 적이 있어요. 그 마음이 너무 감사했죠. 요새는 꽃 한 송이도 받아서는 안돼요. ‘청탁금지법(김영란법)’ 때문에 스승의 날이 괜히 불편한 날이 될 수도 있지만 저희는 아무 문제가 없어요. 이번 스승의 날엔 본교 선생님들과 영화를 보며 저희끼리 작은 축제를 열 예정이에요.”
위 문장들은 전부 김영란법 시행 이후 지난 15일, 스승의 날의 풍속도를 전하는 기사의 일부다. 예문에서는 ‘학부모’ 대신 ‘학부형’이라 썼는데 모두 ‘학부모’로 고쳐 써야 맞다. 예전엔 ‘학부모’ 대신 ‘학부형’이란 표현을 많이 썼다. 둘 다 학생의 보호자를 일컫는 말이지만 그 대상엔 차이가 있다. 학부형(學父兄)은 ‘학생의 아버지나 형’, 학부모(學父母)는 ‘학생의 아버지나 어머니’라는 뜻이다.
옛날엔 집안일은 어머니가 돌보고 자식의 학교 방문 등 바깥일은 아버지나 아버지를 대신해 나이 차가 나는 손위 남자 형제가 챙겼다. 다시 말해 과거 가부장적 세태를 반영한 말이 ‘학부형’이며 이 말 속에 아버지와 형만 있을 뿐 ‘어머니’는 없다. 아버지 대신 형은 보호자가 될 수 있었지만 어머니는 보호자가 될 수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학부모’가 훨씬 더 널리 쓰이고 있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돼 어머니의 역할이 제자리를 잡으면서 이제 ‘학부형’은 지난 시절의 용어가 됐다.
아직도 더러 ‘학부형’이라 하는 사람이 있지만 이를 ‘아버지와 형만 있을 뿐 어머니는 없다’ 뜻으로 생각한다기보다 ‘학생의 보호자’란 의미로 이해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학부형’을 못 쓸 이유도 없지만, 이 용어에서 아버지와 형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으므로 의미에 맞게 구분해 사용하는 게 좋다. 특히 학생의 보호자인 어머니 스스로가 “이제 나도 학부형이에요”라거나 학생의 어머니에게 “내일 학부형 모임에서 봬요”라는 표현은 되도록 삼가는 것이 좋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금과초등학교 100주년 기념식 4월 21일 개최
  • [순창 농부]농사짓고 요리하는 이경아 농부
  • 우영자-피터 오-풍산초 학생들 이색 미술 수업
  • “이러다 실내수영장 예약 운영 될라”
  • [열린순창 보도 후]'6시 내고향', '아침마당' 출연
  • 재경순창군향우회 총무단 정기총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