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지신/ 꼭 지켜야 하나요?
상태바
미생지신/ 꼭 지켜야 하나요?
  • 정문섭 박사
  • 승인 2018.02.28 13: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꼬리 미 尾 날 생 生 갈 지 之 믿을 신 信
정문섭이 풀어 쓴 중국의 고사성어 172

사마천의 《사기》 소진열전에 나온다. 신의가 두터운 것을 가리키거나, 우직하여 융통성이 없음을 가리킨다.
대만 유학 시절, 지도를 해주신 Su교수님은 50대 중반에 상처(喪妻) 하셨다. 주위에서 재혼을 권했다. 하지만 그는 외동딸을 결혼시켜 미국으로 이민을 가게하고 독거생활을 이어갔다. 그는 죽은 아내와 ‘절대 재혼하지 않겠다.’ 약속했으므로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어느 덧 세월이 흘러 그가 88세가 다 되었다. 필자가 작년 여름 대만에 가 친구들 몇몇이 교수님을 찾아뵈었다. 술이 좀 들자 그가 이윽고 한숨을 쉬며 한마디 하셨다. “자네들이 혹시 상처하게 되면 제발 2-3년 안에 재혼하게나, 나같이 쓸쓸히 추레하게 미련스럽게 살지 말고. 지난 30여 년간 죽은 아내와의 약속을 지켜 수절해왔는데 이제 생각하니 다 부질없는 일인 것을…. 결국 미생(尾生)같이 바보처럼 살다 죽게 되었네.
“그 약속 말고도 다른 약속 뭐 없었나요?” “글쎄 약속 이라기보다는 뭐 …, 아내가 이런 말을 했지. ‘나 죽은 뒤 다른 여자와 자면 내가 귀신이 되어 그 가운데에 누워있겠다.’고. 여자를 만나면 늘 이 말이 떠올라서 허허.”
소진이 마침내 진(秦)을 제외한 연(燕) 등 6국의 합종을 이뤄내 진의 군사가 중원을 넘보지 못하게 했다. 하지만 이후 진이 제와 위를 꾀어 조를 치자 조왕이 소진을 꾸짖었다. 소진이 두려워 연으로 가서 제에 보복할 것을 청했다. 하지만 소진이 조를 떠나자 합종의 약속이 깨지고 말았다. 진 혜왕이 딸을 연의 태자비로 주었다. 연 문후가 죽고 태자가 왕위에 올랐다. 제가 연의 국상을 틈타 10성(城)을 빼앗았다. 연왕이 소진을 불러 책망하므로 소진이 제왕을 찾아 설득하여 연의 10성을 돌려주게 하였다. 이때 한 사람이 소진을 이렇게 비방하였다. “소진은 이곳저곳에 나라를 팔고 마음에 표리가 있는 자이다. 머지않아 난을 일으킬 것이다.”
소진이 죄인으로 몰릴 것이 두려워 다시 연으로 돌아 왔다. 하지만 연왕이 그에게 원래의 벼슬을 주지 않았다. 소진이 왕을 만났다. “제가 제를 설득하여 10성을 돌려 드렸는데 왕께서 저를 믿지 않는 것은 필시 누군가 중상하는 사람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저는 실상 증삼(曾參) 같은 효도도 없고 백이(伯夷) 같은 청렴도 없고 미생 같은 신의도 없습니다. 가령 대왕께서 증삼, 백이와 미생 같은 사람을 얻어 왕을 섬기도록 하면 어떻겠습니까?” “좋은 생각이오.” “그렇지 않습니다. 효도가 증삼 같으면 하룻밤도 부모를 떠나 밖에서 자지 않을 텐데, 왕께서 어떻게 그를 걸어서 천 리 길을 오게 할 수 있겠습니까? 백이는 무왕의 신하가 되는 것이 싫어 수양산에서 굶어 죽고 말았는데 어떻게 그런 사람을 천 리 길 제나라로 달려가게 할 수 있겠습니까? 신의가 미생 같다면 미생은 다리 밑에서 만나기로 약속한 여자를 기다리다 물이 불었는데도 떠나지 않고 다리 기둥을 안은 채 죽었는데, 이런 사람에게 천 리를 달려가 제나라의 강한 군사를 물리치게 할 수 있겠습니까? 저를 불효하고, 청렴하지 못하고, 신의가 없다고 중상하는 사람이 있지만, 그렇기 때문에 저는 부모를 버리고 여기까지 와서 약한 연나라를 도와 제나라를 달래어 빼앗긴 성을 다시 바치게 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연왕이 고개를 끄덕이며 소진에게 다시 관직을 주고 후대하였다.
이 이야기는 소진열전 뿐 아니라 《장자(莊子)》, 《전국책(戰國策)》 등 여러 전적(典籍)에도 나온다. 미생은 춘추시대 노나라 사람으로 사랑하는 여인과 다리 아래에서 만나기로 하고, 약속시간에 맞춰 그 다리 아래에서 기다렸으나 여자가 오지 않았다. 이때 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져 물이 불어났다. 사람들이 위험하다며 올라오라고 하였지만, 그는 약속을 지켜야한다며 다리 기둥을 안고 버티다가 마침내 익사하고 말았다.
무슨 일이 있어도 약속은 굳게 지킨다는 의미와 어리석고 고지식하여 융통성이 없음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보는 시각에 따라서 그 의미가 상반된다.

글 : 정문섭 박사
     적성 고원 출신
     육군사관학교 31기
     중국농업대 박사
     전) 농식품부 고위공무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금과초등학교 100주년 기념식 4월 21일 개최
  • [순창 농부]농사짓고 요리하는 이경아 농부
  • 우영자-피터 오-풍산초 학생들 이색 미술 수업
  • “이러다 실내수영장 예약 운영 될라”
  • [열린순창 보도 후]'6시 내고향', '아침마당' 출연
  • 재경순창군향우회 총무단 정기총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