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피해보전 직불금 실효성 ‘없다’
상태바
한우 피해보전 직불금 실효성 ‘없다’
  • 남융희 기자
  • 승인 2013.10.04 17: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군내 축산농가 “축산농가 보상책 세워줘야 한다”

한우 어미 소와 송아지가 올 해 처음 자유무역협정 피해보전 지원대상으로 선정됐으나 피해보전금액 산정 기준을 놓고 전국의 축산농가와 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특히 “자유무역협정 직불금 산출 산식에 수입기여도를 반영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법률 자문 결과가 공개돼 귀추가 주목된다.
자유무역협정 피해보전 직불금은 자유무역협정으로 수입이 늘어난 농축산물 가격이 직전 5개년 평균가격의 90%보다 낮으면 그 차액의 90%를 보전해주는 제도이다. 2004년 도입됐지만 가격 및 수입 요건이 까다로워 지금까지 단 한 차례도 지급되지 않았고 올해 처음 지급될 예정이다. 이는 자유무역협정 이후 한우 농가들이 직접적으로 피해를 봤다는 사실을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이라 하겠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쇠고기 총수입량(24만t)이 기준 총수입량(20만7000t)보다 15.6% 증가했으며, 특히 미국에서 수입한 규모(8만4000t)가 기준 수입량(5만5000t)보다 53.6% 각각 증가했다. 또 국내 가격은 평년(2007~2011년) 대비 2012년의 경우 큰 소는 525만원에서 466만4000원으로 11.2% 하락하고, 송아지는 223만4000원에서 151만7000원으로 32.1% 떨어져 피해보전 직불금 발동 요건 3가지를 동시에 충족시켰다.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농어업인 등의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8조에 따라 직불금을 산정해보자. 큰 소 기준 평년 가격 525만원에서 2012년 가격 466만4000원을 빼면 58만6000원 하락했다. 평년 가격의 90%를 적용한 금액(472만5000원)에서 2012년 가격을 뺀 차액이 6만1000원이다. 이 차액의 또 90%를 적용한 금액이 5만4900원이 된다. 같은 방법으로 계산한 송아지 직불금은 44만4519원이다. 이렇게 지급하면 약 2000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편성된 예산은 600억원뿐이다. 정부는 ‘수입기여도’라는 계수를 적용시켰다. 수입기여도란 가격 하락 요인 가운데 자유무역협정에 수입 증가 비중을 말한다. 정부는 한우 가격을 떨어뜨린 원인의 24%는 자유무역협정이 나머지 76%는 국내 공급ㆍ수요 변화에 있다고 판단했다. 한우 사육두수가 늘었다는 이유로 자유무역협정의 책임은 24%(송아지는 13%)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렇게 수입기여도를 반영하면 큰 소 한 마리 58만6000원 하락에 대한 보상금은 고작 1만3545원, 송아지 한 마리가 70만원 이상 손해를 봐도 고작 5만7343원밖에 받지 못한다.
이 직불금은 한·미 에프티에이가 발효된 2012년 3월15일 이후에 판매한 소에게만 적용된다. 곧 열 마리를 키워도 작년에 소 한마리만 팔았으면 한 마리 분만 나온다.
지난해 3월 15일부터 12월말에 출하(도축)된 개체가 해당되며, 전체 사육기간 중 최장기간 사육한 농가에 지급된다. 또한 한우 송아지는 이력제상 출생 일자를 기준으로 지난해 3월 15일부터 12월말에 만 10개월령 이전에 최초 출하된 개체가 해당된다.
정부는 정부가 조언을 구했던 민간 법률회사조차 피해보전 직불금을 전액 지원해야 하고 수입기여도를 반영해 감액 지급하는 것은 현행법상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고 보고했는데도 밀어붙이고 있다.
또 법무법인 태평양은 “현행 법률의 입법 형식ㆍ취지를 감안할 때 (수입기여도 적용은) 행정청의 재량을 벗어난 행위”라는 의견을 국회 농해수위에 전달했다. 법무법인 화우도 “자유무역협정 특별법의 문언이나 법률 제정 목적 등을 고려할 때 자유무역협정 직불금 산출 산식에 수입기여도를 반영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인계면에서 한우를 사육하고 있는 권봉룡 씨는 “한우 자유무역협정 직불금이 적어서 신청하지 않았다. 2년 동안 소 값 하락률이 한 마리에 200-300만원 정도다. 어떻게 생각해봐도 이해되지 않은 상황이다”며 “기존 축산농가에 대한 보상책은 세워줘야 한다. 송아지에서 번식우까지 90여두를 유지하면서 1년 30두 정도를 출하한다. 지난해부터는 적자다. 특별히 투자한 것 없이 사료 값만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형국이다”고 말했다. 또 권 씨는 “원가생산비를 낮추기 위해 조사료 생산을 많이 하여 사료 값을 낮추려는 노력도 해봤지만 비육우는 어쩔 수 없이 사료를 먹일 수밖에 없다”며 “한우 고기를 먹으면 성인병 유발 등 정책적으로 한우를 죽이는 언론보도만 한다. 한우를 살리려는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며 “한우 고기를 먹어서 좋아지는 부분의 홍보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직불금 신청이 마감된 지난달 말 기준 군내에서는 931농가(한우 6040두ㆍ송아지 1711두)가 신청했으며, 폐업지원금 신청은 70농가(암소 741두ㆍ수소 164두)가 신청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군내 한우 사육은 990 농가에서 2만2215두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금과초등학교 100주년 기념식 4월 21일 개최
  • 금과초 100주년 기념식 ‘새로운 백년 기약’
  • [순창 농부]농사짓고 요리하는 이경아 농부
  • “이러다 실내수영장 예약 운영 될라”
  • [열린순창 보도 후]'6시 내고향', '아침마당' 출연
  • ‘카페 자연다울수록’ 꽃이 일상이 되는 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