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시대 지역 언론의 역할
상태바
지방자치시대 지역 언론의 역할
  • 림양호 편집인
  • 승인 2010.11.05 17: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 언론은 지방자치의 한 주체이자 참여자치의 한 영역입니다. 지역의 건강한 언론을 지원해 견제와 감시가 살아있도록 하겠습니다. 지자체와 언론의 적극적인 긴장관계, 지역을 위한 언론의 적극적인 정책제안이 있을 때 지방자치가 더 살아날 수 있습니다.”

농민회사무국장, 마을이장, 신문발행인, 군수, 장관을 거친 김두관 경남도지사의 언론관이다.

“언론에 의해 자치단체의 부정적인 측면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언론은 주민 참여와 소통을 앞세워 자치단체의 정책을 호도하고 왜곡합니다. 지자체의 정책을 비판하는 언론은 암적 요소입니다. 지역 언론은 자치단체를 홍보하는 매체로만 육성돼야 합니다.”

만약 지방정부 고위층이 이런 언론관을 갖고 있다면 그 지역에는 희망의 불씨가 없다.

민선5기가 시작된 지도 넉달이 지났다. 옛날 병원도 약도 흔하지 않았던 때는 출생 후 100일을 넘기면 잔치를 열고 이웃과 그 기쁨을 함께 나눴다고 한다. 헌데 요즘의 우리지역은 백일 넘긴 잔치보단 중병일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엄습한다.

지난 6ㆍ2 지방선거이후 자치단체들은 ‘참여와 소통’을 강조했다. 주민을 행정의 대상이 아닌 파트너로 인정하고 민의를 바탕으로 지역을 발전시키겠다고 호언했다. 반면 우리 지역은 형식적인 흉내만 냈을 뿐 진심어린 정책은 없었다. 오늘의 불안과 실망은 이미 예견할 수 있었던 당연한 결과인지도 모른다.

눈 들어 살펴보면 경기 고양시의 시정운영위원회나 대전 대덕구의 다양한 주민참여제도, 서울 은평ㆍ강동구, 경기 오산시, 경북 칠곡군, 전북 무주군의 주민참여예산조례 제정 사례는 자치단체장들이 주민을 더 많이 더 자주 만나러 애쓰고 있다는 증표다.

혹자는 지방자치의 변화는 주민 참여에 대한 개방적인 자세에서 시작된다고 강조한다.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는 그동안의 독단적인 정책결정 관행을 버리고 주민들의 결정을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역 언론은 잘못된 관행을 척결하고 감시하는 지역주민의 동반자적 동지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주민참여가 왜 생각만큼 잘 안 될까? 주민의 입장에서 반성할 필요가 있다. 주민들이 무관심하고 눈감고 있을 때 지방권력은 적당한 구실과 제도적 허점을 찾아내 주민들의 의사를 묻지도 표현할 틈도 없이 결행한다. 이를 감시하고 견제하는 책무는 누구에게 있는가. 지역주민에게 있다. 그리고 지역주민과 함께 지역의 건강한 변화와 발전을 일궈낼 지역 언론이 앞장 서야 한다.

지역 언론은 민선 5기. 120여일의 행보에 대해 주민들은 정말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톺아봐야 한다. 그리고 파악된 민의를 정치인이 마음과 귀를 열고 냉정히 받아드릴 수 있도록 타협하지도 물러서지도 않는 의연한 자세로 보도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금과초등학교 100주년 기념식 4월 21일 개최
  • [순창 농부]농사짓고 요리하는 이경아 농부
  • 우영자-피터 오-풍산초 학생들 이색 미술 수업
  • “이러다 실내수영장 예약 운영 될라”
  • [열린순창 보도 후]'6시 내고향', '아침마당' 출연
  • 재경순창군향우회 총무단 정기총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