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철 모르는 삶
상태바
[기고] 철 모르는 삶
  • 양장희 독자
  • 승인 2015.01.16 14: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양장희(금과 고례) 전) 순창군의회 의원

철은 ① 한 해의 봄, 여름, 가을, 겨울 4 시기를 구분한 시기(계절 따라 꽃이 핀다) ② 제 철, 어떤 시기나, 때를 나타내는 말 ③ 사리를 해아릴 줄 아는 힘, 철딱서니, 철 때기 등 ※속담 : 철나자 망령(妄靈, 늙거나 정신이 흐려져서 언행이 어그러져 지는 일)
인생은 길지 못하여 곧 나이 드는 것이니 어물어물 하다가는 아무 일도 이루지 못한다는 것을 경계하는 말이다. 나는 국가에서 공짜로 주는 노령연금 매월 7만4000원이 내 통장에 입금되는데, 언제부터인가 매달 16만원이 입금되었다. 참 좋은 노령연금제도라 할까?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니 이렇게 좋을 수가 없다고 좋아해야 할까? 댓가 없는 복지는 없고 무상복지도 지속 가능할까?
국가 재정에 미치는 부담 등 여러 측면에서 부작용은 없을까. 복지정책은 한계가 분명 있을 거다. 외부적 재원보다는 내부적 한계일 것이나 받고자 하는 나 같은 국민의 마음이 중요하다. 나와 나의 주변에 있는 지인들과 마음을 열고 들어보면 다행히 국민의 의식이 바뀌고 있음을 볼 수 있다는 게 위안이다. 예산확보 없는 복지는 있을 수 없다는 명제엔 대부분 공감하지만, 그 예산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것은 많은 의견, 견해차가 있을 것이다.
옛날이야기지만, 야당 정치인 김산 씨가 자유당 일색인 시절 광주공원에서 야당 대통령 후보 찬조 연설한다고 라디오에서 몇 일전부터 선동하기에 촌놈이 가까스로 광주 사직공원에 갔는데 그 가 “국민여러분, 잉어를 잡아 가마솥에 물을 부어 장작불로 끓였는데 물이 따뜻해지니까 잉어가 좋다고 꼬리를 치며 놀더라”며 “가마솥 물이 뜨거워지게 끓으면 어떻해요” 하더이다. 그때 그 시절 호랑이가 담배피던 그 시절에도 선거 표를 의식해서 어둔한 주민에게 혜택을 줬나보다. 그 때 집권당 자유당 당원들이 그 흔한 고무신을 집마다 돌려주면서도 동아일보를 보는 우리 집은 외면당했다. 그땐 동아일보 고바우 영감만 보면 어쩜 그 대가리가 고무신 같았다. 가마솥에 잉어신세 생각하면서 고민해야지 하면서도 누가 내 나이를 물으면 머뭇거리다가 나 ○○년생이요. 실인즉, 지금 몇 살인지 쉽게 답을 못한다. 말하자면 건망증이나 돌아갈 때가 된 것 같다. 타양인 지구에서 본래 왔던 그곳으로 돌아간다는 뜻인데 그리 좋은 기분은 아니다.
장례식장에서 시신 염을 삼십년 했던 사람이 나에게 이렇게 말했다. 죽어서 갈 때 웃는 얼굴, 평온한 얼굴, 불안한 얼굴, 화난 얼굴로 다양한데 행복한 얼굴로 숨이 떨어진 사람이 가장 보기 좋다고. 배낭여행을 직업삼아 다니는 여자가 아프리카에서 기차여행을 하는데 몇 날 몇 일, 아침마다 거울을 보고 치장을 하자 옆에 있던 깜둥이 여자가 “얼굴을 왜 봅니까? 얼굴이 평온한가를 보십시오!” 하더란다. 그렇게 말하는 깜둥이 여자가 선생님이다. 과연 얼굴이 뭘까? 얼은 “넋, 혼, 꼬락서니”를 말하고, 굴은 “그의 굴곡”을 말한다. 예를 들어, 얼굴 보니 죽을상이더라, 얼굴 보니 운이 트였더라 등 얼굴이 그 사람의 마음의 증표이고, 속일 수 없는 진실이다. 선거 때 마다 돈 먹은 얼굴은 솔직히 내가 그 놈의 노령연금 때문에 좀 불안하다.
타국의 예를 보자, 그렇게 잘살던 선진국이 표를 의식해 복지정책 펑펑 쓰다가 망한 나라가 한둘이더냐. 
실속없이 사는 나를 빗대어 그 누가 말하더이다. 속없이 허송세월 살다가 회갑을 맞이했는데 회갑연회 자리에서 내가 벌써 회갑이네 정신이 번쩍 들었는데, 작심삼일이라 도로 아미타불 그 후 그가 죽어 관 뚜껑에 땅땅 못 박은 소리에 깜짝 놀라 제정신 차렸는데 때는 늦었더란다. 시계는 살 수 있어도, 시간은 살 수 없다고 그 누가 말했다. 그 귀중하고 중차대한 금쪽같은 젊은 시간표 늙어가면서 억지 주장으로 말하자면 투표권이 있다. 표가 한 장 남아 있는 샘이다. 말소된 주민등록처럼 아무도 불러주지 않던 내가 마지막 남은 표가 한 장 있다. 선거할 때 쓰는 말이다. 그 누가 말했다. “그 나라 국민 수준이 그 나라 정치수준이다”라고 대통령, 국회의원, 군수, 도의원, 농ㆍ수협장 등 그 사람들 누가 뽑나요. 우매하고 못난 우리들이 나 대신 네가 나가서 잘하라고 위임한 게 그게 선거다. 쉽게 말해서, 우리가 만들어 놓은 자식들이다. 잘못한다고 욕하고 책하지 마라. 자식은 부모를 보고 배운다.
십여년전 서울대 모 교수가 ‘공자(유교)가 죽어야 나라(민주주의)가 산다’고 했다가 유림들이 벌때가 되어 그 교수가 혼이 나갔었다. 그런데 내가 봐도 그 유교(儒敎)가 지금도 살아 숨 쉬고 건재하다. 우선 선조 제사도 그렇고 관혼상제, 혈연, 지연, 학연 등 유교와 전혀 배제할 수 없는 처지다. 예를 들어 선거범죄로 내가 누군가를 고발했다며 “너는 우리 일가가 아니다. 성을 갈아라. 우리 지역에서 떠나라. 너는 모교를 등진 놈이다” 할 것이다. 유교와 정이라는 이름표가 우리사회를 밧줄로 꽁꽁 단단히 묶어놓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러나 봄은 정시에 오지 않는다. 기다리는 자, 꿈이 있는 자에게 먼저 온다. 좌고우면(左顧右眄: 여기 저기 돌아봄) 하지 말고 나부터 선거(選擧 가려서 뽑다)다운 선거를 해야 한다.
서울 삼풍백화점 붕괴사건 때 군대 귀대 하려다가 깔려 구사일생으로 10일 만에 살아난 군인에게 기자가 마이크를 들이대며 기분이 어떠냐고 물었더니 부모에게 누를 끼쳐 죄송하다고 하더란다. 우리들은 후손에게 누를 끼쳐 미안하다는 말을 할까? 철모르고 살았다고 할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금과초등학교 100주년 기념식 4월 21일 개최
  • [순창 농부]농사짓고 요리하는 이경아 농부
  • 우영자-피터 오-풍산초 학생들 이색 미술 수업
  • “이러다 실내수영장 예약 운영 될라”
  • [열린순창 보도 후]'6시 내고향', '아침마당' 출연
  • 재경순창군향우회 총무단 정기총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