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우침주/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상태바
적우침주/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 정문섭 박사
  • 승인 2018.04.11 16: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쌓을 적 積 깃 우 羽 잠길 침 沈 배 주 舟
정문섭이 풀어 쓴 중국의 고사성어 175

새의 깃이라도 쌓이면 배를 가라앉게 한다는 뜻으로 《사기》 장의열전에 나온다.

  “여보, 이것 좀 봐. 곰팡이가 슬었네. 아이고! 소매도 닳아지고 앞 단추 자리 허연 실밥 좀 봐. 20년도 더 된 것 같은데, 이제 버립시다.”
  “글쎄, 아직 입을 만하지 않나…?”
  “당신 출근 안한지가 벌서 몇 년이요? 이제 양복 입을 일도 별로 없는데 서너 개만 남기고…, 여기 와이셔츠나 티셔츠도 버릴 게 천지네. 티끌 모아 쓰레기!”
  “아, 그것 맞춰 입느라고 나간 돈이 얼마인데…,”
  “당신이 금과옥조처럼 여기던 ‘티끌 모아 태산’은 이제 버려야 할 때요. 당신 수준에는 소비가 미덕인 거 모르세요? 홈쇼핑 카탈로그 보니까 좋은 게 많더구만. 제발 버릴 건 좀 버리고 신상품으로 바꿔 입어요.”
  아내가 변했다. 외식도 돈 아깝다며 집밥을 고수하던 그녀다. 
  허긴, 앞으로 살날도 길게 잡아 봤자 고작 20년도 안될 텐데, 몸 멀쩡할 때 옷이나 잘 입고 또 잘 먹다가 죽어야지, 재산 많이 남겨봐야 자식들 좋은 일만 시키지 않나?  
 
  지난 호에 기고한 앞서 <고침안면>에서 말한 것처럼 장의는 소진이 어렵게 맺어놓은 ‘합종’을 깨고 진을 중심으로 ‘연횡’을 하는 데 앞장섰다. 장의는 여러 계책을 내어 진왕의 신임을 얻어 재상이 된 후, 다른 나라들이 진과 연횡을 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먼저 위로 건너가 위의 재상이 되었다. 위 양왕에게 진을 섬기도록 유세하였으나 거절당하였다. 뒤를 이은 애왕에게 또 유세하였다.  
  “위는 영토가 작고 군사도 30만에 불과합니다. 사방에 많은 나라가 에워싸고 있고 그들이 합종을 지킬지 의심스럽습니다. 만약 다른 나라들이 위를 치면 단숨에 멸망할 것입니다. 위가 진을 섬긴다면 한과 초가 쳐들어오는 일은 없게 되어 ‘베개를 높이 하여 편히 잘 주무실 수 있고(고침안면)’ 나라도 아무런 걱정이 없을 것입니다.”
  애왕이 옳은 말이라 여기면서도 뭔가 미심쩍은 듯 고개를 갸웃거렸다.
  “합종이 더 유리할 것 같지 않소? 그들의 말에도 일리가 있던데….”
  “합종을 말하는 자들은 어느 누구를 막론하고 큰소리를 치는 자가 많아 믿을 만한 것이 되지 못합니다. 제후 한 사람을 잘만 설득하면 봉후(封侯)가 되는 까닭에 천하의 유세가들은 밤낮으로 팔을 걷고 눈을 부릅뜨며 이를 악물고 합종이 이롭다며 군주를 설득하고 다닙니다. 군주가 그 변설을 현명한 것이라고 생각하여 그 말에 끌려 현혹되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신이 듣기로 쌓아서 겹치면 가벼운 깃털이라도 배를 가라앉게 할 수 있고 지나치게 많이 실으면 수레바퀴의 축을 부러뜨리며, 뭇 사람의 입은 무쇠도 녹이고 여러 사람이 헐뜯으면 뼈까지도 녹인다고 했습니다(臣聞 積羽沈舟 群輕折軸 衆口鑠金 積毀銷骨 신문 적우침주 군경절축 중구삭금 적훼소골). 대왕께서는 계책을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합종론자들의 감언이설에 놀아나지 말라는 이 말에 애왕이 마침내 합종을 깨고 진과 화친하였다. 장의는 이를 시작으로 먼저 초를 설득하고 이어서 한과 제를 설득하여 합종을 깨고 마침내 연횡을 성립시켰다.

  훗날 사람들은 ‘가벼운 깃털도 무게가 있다.’는 이 말을 작은 힘도 합하면 큰 힘이 된다는 의미로 쓰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티끌 모아 태산’이 된다는 말로도 쓰며, 이 성어를 인용하여 작고 하찮은 것들을 소홀히 하거나 무심코 지나치면 큰 화근이 되고 큰 피해를 받을 수 있다고 가르쳤다. 

  어릴 적 즉, 60-70년대에는 누구나 그랬듯이 부모님과 선생님으로부터 ‘티끌모아 태산’이라는 말을 많이 듣고 살아 왔다. 그때는 보리밥과 무밥을 먹고 그것도 배불리 먹지 못한 가운데 시래기 국을 먹으며 돼지 저금통에 동전을 넣고 저축통장을 만들고 아끼고 사는 것이 절대미덕이었다. 다들 검소하고 질박하게 그렇게 살아 왔다.
  하지만 오늘날 물질이 풍요해지면서 우리가 가졌던 검소한 모습은 퇴색되어가고 있다. 우리 세대가 겪은 것을 잘 모르는 요새 젊은 세대들은 묻는다. 왜 그리 초라하고 무능하게 그리고 궁상맞게 살았지? 그리 가난하도록 뭘 하셨나? 더욱이 돈 부유한 부모를 가진 아이들은 가난이니 절박이니 하는 말에 대한 감(感)도 없다.
  이제∼ 모으고 아끼기보다는 보다는 소비가 미덕인 사회가 되었다. 부가 대물림되는 것이 고착화되고 빈부격차가 줄어들지 않고 있는 것을 본 그들, ‘지금 모아봤자…’ 하는 심리적 공황과 정서적 황폐를 느끼고 있다. 아예 모으기를 포기하고 자신의 행복만을 위해 그날그날을 즐기며 지내는 것이 좋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그들에게 아끼고 검소하게 살면 잘 살게 되고, 작은 힘도 합하면 큰 힘이 된다면서, 塵合泰山(진합태산, 티끌 모아 태산), 愚公移山(우공이산, 산을 대를 이어 옮기다), 磨斧作針(마부작침,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들다) 水滴穿石(수적천석, 물방울이 바위를 뚫다), 露積成海(노적성해, 이슬이 바다를 이루다)들을 예로 들고,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 '네 처음은 미약하나 그 끝은 창대하리라' 등 격언들을 들어가며, ’작은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말해본들 과연 그들의 귀에 잘 들어가겠는가?

글 : 정문섭 박사
     적성 고원 출신
     육군사관학교 31기
     중국농업대 박사
     전) 농식품부 고위공무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금과초등학교 100주년 기념식 4월 21일 개최
  • [순창 농부]농사짓고 요리하는 이경아 농부
  • 우영자-피터 오-풍산초 학생들 이색 미술 수업
  • “이러다 실내수영장 예약 운영 될라”
  • [열린순창 보도 후]'6시 내고향', '아침마당' 출연
  • 재경순창군향우회 총무단 정기총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