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임실군이 전체 군민에게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지급을 결정했다. 정부가 오미크론 변이 특성에 부합하는 방역·의료 관리체계로 전환했지만 고령자가 많은 시골은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선제적 조치다. 이런 결단을 내린 이는 심민 임실군수다.
심 군수는 13일 경향신문과 인터뷰에서 “고령층이 많은 군민들이 시골에서 나와 혹한 속에서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감기로 생각해 검사를 잘 받지 않는 특성을 감안해 지역사회 감염확산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내린 결정”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말 임실군 인구는 2만6000여명이다. 긴급 확보된 자가검사키트는 3만여개여서 1인당 1개씩 지급하고도 남는 규모다. 심 군수는 “애초 집집마다 찾아가 직접 배부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고령의 어르신들이 사용에 어려움을 겪을 것 같아 보건의료원과 12개 읍·면사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에 비치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그는 “임실군은 65세 이상 어르신이 전체 인구의 38%를 차지할 만큼 고령층이 많다. 노인층이 멀리 이동을 하지 않고 마을에 있는 보건지소 등을 찾아가면 미리 직접 사용법을 숙지한 직원들이 도와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면서 “코로나 검사를 받으려면 버스나 자가용을 타고 적게는 30분, 많게는 1시간 이상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을 차단시켰다”고 말했다.
심 군수는 “최근 시골지역인 임실지역에도 코로나 확진자가 크게 늘었다. 지난달 말 75명에 그쳤던 것이 설 명절 이후 불과 열하루 만에 154명이나 발생해 300여명에 근접해 안심할 처지가 아니다”라며 “자가검사키트 대란이 우려되는 만큼 재난관리기금을 긴급 투입해 검사장비를 확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임실군은 2020년 4월 마스크 대란이 발생했을 때도 전 군민에게 마스크를 조기 지급했다. 시골 주민들은 코로나19 의심증상이 있어도 감기증상으로 오인해 검사를 받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기 때문에 사전에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선결과제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심 군수는 “가까운 곳에 자가진단키트가 준비돼 기다리고 있는 만큼 의심 증상이 있는 주민들이 언제든지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돼 감염을 차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올해로 3년째 힘드신 일상을 보내고 있는 군민들과 함께 코로나19를 이겨내는 데 힘을 모아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