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와 언론인
상태바
공직자와 언론인
  • 남융희 기자
  • 승인 2013.07.05 12: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적 의미의 지방자치제도가 처음으로 시작된 것은 1952년이지만 1961년 5ㆍ16군사 쿠데타 이후 지방자치는 중단됐다가 1991년 다시 부활됐다. 그러나 그때까지의 지방선거는 종류별로 각각 실시되거나 아니면 자치단체장을 제외한 지방의회 의원 선거만이 실시됐다. 4대 선거를 동시에 실시하는 지방자치가 부활된 것은 지난 1995년부터다. 지방자치제도 하에서 공직자는 어떤 정직함으로 지역공동체 주민들과 소통해야 할까.
어떠한 사안에 대해 명확한 근거와 기준이 있음에도 자의적 판단으로 혹은 독선으로 사안의 본질을 흐리게 하거나 어떠한 의도로든 진실을 숨기려는 공직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 민원이 제기됐을 때 이미 예측 가능하고 근거 자료가 명확히 존재함에도 정보공개 요청이니 개인정보 유출 우려니 갖가지 핑계로 순간순간만 넘기고 보려는 심사가 뚜렷이 보여 안타깝기 그지없다. 공직자가 법적잣대로 행위를 보고 그 동기를 관찰하며 그 귀착하는 바를 소상히 밝힌다면 제2ㆍ3의 의혹은 사라질 것이다.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 그것이 곧 정직함의 표본이라는 생각이다.
기자는 직업의 특성상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자ㆍ타의식과 관계없이 만난다. 다채로운 사람들과의 인연에서 상황에 맞춘 기준을 투영시켜 새로운 무엇인가를 창안하여 선보이기도 하고, 사람살이의 모습을 그대로 담기도 하며, 때로는 비판과 감시ㆍ채찍을 견주기도 한다. 그러한 각양각색의 정보들이 조화를 이루고 사람 향기 나는 매체가 되고자 하는 지역 언론이 바로 <열린순창>이다.
출산의 고통까지는 아닐지라도 우여곡절을 겪으며 음지에 있던 정보들이 세상 밖으로 들춰지며 사람과 소통하고 공동체와 상생하는 장이 마련되기도 한다.
독자로부터 사랑받는 매체가 되기 위해서는 몇가지 전제조건이 따른다.
첫째, 독자와 언론사ㆍ언론 종사자 사이의 신뢰이다. 독자는 언론사에서 생산하는 모든 정보에 대해 신뢰할 수 있어야 하며 매체는 그러한 신뢰를 얻기 위해 편안함 보다는 정직과 진실을 향해 곁눈질하지 말아야 한다. 비록 매체의 환경이 역경과 고난 가운데 부딪칠지라도 질곡의 삶을 산다 할지라도 옳음의 길을 선택하며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하는 존재가 매체에 종사하는 자의 책무이다.
둘째, 매체와 매체 종사자는 무한 배려와 섬김의 자세로 독자를 대하여야 한다. 사소한 정보라 할지라도 소홀함 없이 대해야 하며 철저한 현장중심의 검증과 일관된 기준의 잣대로 표현해야 한다.
풀뿌리 민주주의, 작은 지역공동체 구성원으로써 공직자와 언론인으로 산다는 것에 대한 깊은 반성과 새로운 다짐이 필요한 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금과초등학교 100주년 기념식 4월 21일 개최
  • [순창 농부]농사짓고 요리하는 이경아 농부
  • 우영자-피터 오-풍산초 학생들 이색 미술 수업
  • “이러다 실내수영장 예약 운영 될라”
  • [열린순창 보도 후]'6시 내고향', '아침마당' 출연
  • 재경순창군향우회 총무단 정기총회